곳집의 부동산들 28

[부동산] 가치다원론

본래 다원론(pluralism)이란, 세계나 사상을 많은 근원적 원리로 설명하는 견해이다. 현대 경제사회의 발전과 복잡화에 따라 매우 다양한 목적의 평가수요가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시장가치만 아니라 다양한 목적의 평가의뢰인들이 다양한 평가가치 산정을 의뢰하게 되었다. 감정평가 가액은 그 정보가 어떠한 용도로 사용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통상의 부동산 가치는 예를 들면 시장가치, 공정가치, 과세가치, 저당가격, 교환가격, 청산가치, 공익가치, 안정가치, 장부가치, 감가상각된 가치, 진성가치, 진성가치, 사용가치, 투자가치, 보상가치 등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으로, 부동사느이 가치는 감정평가의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바로 가치다원론..

[부동산] 현대 평가이론의 발전

Marshall과 Fisher, 그리고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의 여러 경제학자들의 저서는 전문가들에 의해 널리 읽혀졌다. 이와 동시에 부동산감정평가가 관심분야로 떠오르면서, 일부 개업 평가사들도 생겨나 다양한 유형의 재산권에 대한 시장가치나 기타 유형의 감정평가 경험을 축적하게 되었다. 1920년대와 1950년대에 일어난 몇몇 사건들은 감정평가가 아직 역사는 짧지면 실용성이 큰 학문 분야가 되는데 일조하였다. 그 중 하나는 토지경제학(Land Economics)이 학문분야의 하나로 등장한 것이었다. 토지경제학은 여러 학문 분야의 상호작용 결과로 발전되어 여기에 매료된 학자들로 하여금 40여년 간이나 부동산과 감정평가 관련 문헌연구에 상당한 기여를 하도록 만들었다. 감정평가의 역사에서 또 하나의 ..

[부동산] 신고전학파의 통합이론

고전학파 가치이론에 대한 한계효용학파와 막시스트의 강력한 도전은 신고전학파(neoclassical school) 경제학자들로 하여금 가치문제를 신중히 재고하게끔 만들었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이들은 고전학파의 '공급•비용 요인'과 한계효용학파의 '수요•가격이론'을 성공적으로 통합하였다. 알프레드 마샬(Alfred Marshall, 1842~1924)은 이러한 통합에 결정적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것이 현대 가치이론의 기초를 형성하고 있다. 그는 '수요와 공급은 마치 가위의 양날처럼 가치결정에 있어서 결코 분리될 수 없는 것'이라 생각했다. Marchall은 고전학파이론과 한계효용학파 이론의 통합, 즉 수요 원리와 공급원리 간의 조정에 있어서 시간의 역할이 중요함을 다음과 같이 강..

[부동산] 막시스트와 한계효용학파의 도전

19세기 후반, 고전학파의 가치이론은 두 가지 중대한 도전에 직면했다. 그 중 하나는 칼 막스(Karl Marx, 1818~1885)에 의한 노동가치설(labor theory of value)이었다. Marx는 모든 가치는 노동의 직접적인 결과이며, 노동에 대해 증가되는 임금이 자본이익(capitalistic profits)을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Marx는 또한 사회계급 사이의 계급투쟁이 결국 폭력적인 정치 봉기를 야기할 것이라 했다. 이러한 예언적 주장은 공산주의 계획경제체제의 중심사상이었으나, 결국 1991년 소비에트 붕괴와 함께 완전히 실패로 드러났다. 고전학파에 대한 또 다른 도전은 한계효용학파(marginal untility school)에 의해 제기되었다. 이들은 고전학파이론과 ..

[부동산] 고전학파 가치이론

고전학파(classical school)는 중농주의 사상을 확장하고 발전시켜 생산비용이 가치를 결정한다는 가치이론을 정립하였다. 영국의 경제학자 아담 스미스(adam Smith, 1721~1790)는 토지와 노동 이외에 자본이 생산의 중요한 요소라고 하였다. Smith는 경영의 역할을 인식하여 유용한 재화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생산요소들이 잘 결합될 때 비로소 가치가 창출된다고 믿었다. 그는 경제학을 체계적으로 다룬 최초의 저서인 (The Wealth of Nations; 1776)에서, 가치를 객관적인 현상으로 파악하였다. 재화가 존재한다는 것은 곧 효용을 지니기 떄문인 것으로 가정하였다. 희소성도 재화의 교환가치에 반영되어, 어떤 재화의 자연가격(natural price)은 일반적으로 그 재화를 생산하..

[부동산] 중상주의와 중농주의 가치이론

현대가치이론의 발전은 18C와 19C 고전학파 경제학자들이 노동, 자본, 경영, 그리고 토지라는 4가지 생산요소를 제시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들은 가치를 발생시키는 기본요인, 즉 효용, 희소성, 요구, 그리고 유효수요 등과 수요•공급간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이러한 고전학파의 가치이론은 주로 중농주의(重農主義) 경제학자(physiocrats)들의 연구에 뿌리를 두고 있다. 당시 초기 경제학자들의 사고를 지배했던 것은 중상주의자들의 이론이었는데 중농주의 학자들은 이에 반대하는 입장이었다. 중상주의(重商主義 = mercantilism)는 국력을 강화하는 수단으로서 '국부(national wealth)의 축적에 연구의 중점을 두었다. 중상주의의 입장에서는 국부는 국고에 유입되는 금의 양과 동등한 것이었다. 중상주..

[부동산] 가치평가이론의 역사 - 고대 서양의 경제사상

고대나 중세의 경제사상은 정치, 문화 역사 등 다른 여러 사상들과 섞여 있었다. 근대 이전에는 현대와 같이 학문이 분화되어 있지 않고 경제와 정치, 사회, 문화 등의 경계가 불분명하였다. 특히 경제학은 근대에 들어서서 1776년 아담스미스의 '국부론'을 통해서야 비로소 창시된 것이다. 따라서 당시는 철학이 모든 학문을 포괄하였으며, 모든 사상은 철학의 일부였다. 그들의 주요 관심은 정치였으므로 경제사상은 정치사상의 일부로 등장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도 정치체제와의 연관 속에서 경제를 논의 했다. 따라서 그는 인간의 윤리와 정치, 경제와 관련된 사회정의에 두루 적용될 보편적이고 포괄적인 가치 및 가격이론을 제시했다.

[부동산] 정치적 경기변동이론

노드하우스(William D. Nordhaus)는 1975년에 최초로 '정치적 경기순환(political business cycle)'이론을 실증분석하였다. 그 결과 집권당은 선거에 따라 주기적으로 통화량을 증감시키면서 경기가 상승 및 하강국면을 반복하는 경기변동을 초래하게 된다는 것이다. '정치적 경기변동이론'은 유권자들이 낮은 실업률과 낮은 인플레이션을 선호하지만, 매우 근시안적이어서 단기간 실업과 인플레이션간의 상충관계, 즉 '필립스곡선(Phillips Curve)'을 모르고 있으며, 오직 과거의 경험과 선거기간 중의 경제상태를 근거로 투표를 한다고 가정한다. 즉 집권당은 유권자들이 원하는 저(低)실업, 저물가수준을 유지하기 위하여 선거 전에는 경기부양정책으로 실업률을 최대로 낮춘다. 그리고 선거 ..

[부동산] 거품경기변동이론

경제의 객관적인 상태와는 관계없이 경제주체들의 주관적인 시장심리에 의하여 경기가 변동된다는 이론이다. 경제주체들이 모두 앞으로의 경제는 자신들이 예상하는 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확신하고 행동한다면 경제는 실제로 그렇게 되어가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자기충족적 예언(self fulfilling prophecy)'이라 한다. 즉 부동산시장이 비록 자유경쟁적이고 가격시스템이 자동적•신축적으로 작동된다 하더라고 기대심리에 의하여 경기변동이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이떄의 경기변동이 경제의 내재가치와 무관하게 발생한다는 점에서 '거품' 또는 '투기적거품(speculative bubbles)' 경기변동이라고 한다. 미국의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로버트 쉴러 (Robert shiller)교수는 투기적거품을 해소하..

[부동산] 화폐적 경기변동이론

화폐적 경기변동이론(monetorey business cycle)이란, 경기변동의 원인을 화폐라고 보고, 통화공급과 은행대출의 증감으로 인하여 부동산 경기변동이 일어난다는 균형경기변동이론이다. 부동산경제는 지역적으로 세분된 여러 하위시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위 지역시장들은 서로 가격정보 전달이 즉시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다. .각 지역시장에서의 생산(공급)은 예상상대가격(지역가격과 예상평균물가수준과의 비율)에 따라 변동된다. 평균물가수준에 관한 기대는 합리적으로 형성되지만, 경제주체들이 소유한 정보는 불완전하다. 그러므로 통화량 확대와 같이 예상치도 못한 충격이 미치면 총수요가 늘어나고, 각 시장의 지역가격도 상승하면서 평균 물가수준도 오르게 된다는 것이다. 각 지역시장의 가격변동이 총체적 충격에 의해 ..